사업은 쌓아간다는 것.

(주)CKBcorp., 2016. 5. 11. 06:00
반응형



말 그대로다.

시스템의 완성이라고 표현해도 좋고, 선순환 구축이라 표현해도 좋다.

사업이란, 본질적으로 쌓아가는 것이다.

적어도 내가 아는 사업은 그러하다. 


이전에 아는 사람과 사업 관련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 상대방은 나의 이야기를 이해하지 못했다.

그때는 그 사람이 왜 이해하지 못하는지 그 사실을 이해하지 못했는데, 지금은 알 것도 같다.


사업을 경험해보지 않은 사람은, 시스템을 개선시켜 알아서 돌아가도록 만드는 행위 자체를 느끼지 못하는 듯 하다. ( = 머리로는 알지만, 그것이 어떠한지 몸으로 느끼지 못한다는 뜻. )


뜬구름 잡는 소리같지만, 달리 표현할 말이 없다.



1. 사업은 쌓아가는 것.


이 말은, 사업에는 "자원" 과 "시간" 이 걸린다는 거다.

한 방에 성공하고 완성되는 사업은 존재하지 않는다. 

한 방에 잭팟jackpot 이 터진다면 그것은 사업이 아니다. 단지 당신이 운이 엄청나게 좋았거나, 혹은 당신은 단지 1회의 거래를 한 것일 뿐 사업을 하는 게 아닌 거다.


물론 처음부터 사업으로 성공하는 먼치킨급 괴물들도 있긴 하지만, 너님이 그런 사람이라면, 이 글을 읽고 있지는 않겠지.




[ 탑이던 사업이던, 시간을 들여 쌓아올리는 게 중요 ]




2. 사업은, 내 일을 쌓아가는 것.


바꿔말하면, 피고용자( = 직장인 ) 이라면, 그 사업을 아무리 쌓아도 내가 받는 건 고정급이거나, 약간 많은 수준이라는 거다.


위에서 이야기한 "아는 사람" 과 이야기 했을 때, 그 사람은 직장인이었다. 

그 사람에게 "사업이란 게, 내 일을 쌓아간다는 느낌" 이라고 했더니,

"나도 내 기술이 경력이 됨. 나도 쌓아가는 거임" 이라고 하더라.


글쎄, 직장인도 경력이 안 쌓인다는 소리가 아니었는데. 

남의 일은 언제나 남의 일인지라, 아무리 경력을 가지고 있어도 남의 일을 완성시켜 줄 뿐이다.

물론 자신의 기술과 경력에 도움이 되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일이 자신의 일이 되는 것은 아니다.

회계사가 아무리 회계를 잘 본다고 해도, 결국 고용자가 회계사보다 돈을 많이 버는 것과 같은 이치다.

당연한 소리 아니냐고? 글쎄. 그게... 글로 써서 그렇지 쉽게 이해되는 게 아니라니깐.


잉여생산자원의 분배에 대해 생각해 보자. 그것이 돈이라도 좋고, 시간이라도 좋다. 식료, 의료서비스, 정보, 무엇이던 좋겠지.


너님이 사장 아래서 일을 한다면, 결국 해당 사업의 순이익 중 자신이 가져갈 수 있는 량은 정해진 량 뿐이다. 사업을 운영하는 구성원은 사업을 개선하려 하고, 그것은 투여자원당 이익률 ( = 순이익률 ) 혹은 이익규모( = 순수익 )을 높이도록 한다.

하지만, 그렇게 해서 개선된 사업 구조로 얻은 추가 순이익에 대해, 이익의 획득은 고용주가 훨 크다. 물론 사장은 위험부담을 진다는 점에서 더 많이 가져가는 게 타당하다. 이야기하려는 건 "더 많이 가져가는 게 부당하다" 라는 시덥잖은 소리를 하려는 게 아니라, "시스템은 계속 완성도가 높아져 가는데, 너님의 이익은 증가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는 것이다.


내 일을 쌓아간다는 건, "시스템의 완성 = 내 이익 증가" 라는 뜻이고, 이것은 자신이 사장이 되지 않으면 절대로 달성할 수 없다. 


생각해보자, 수익향상의 관점에서 "기술을 익혀서 월급을 올려받는 것" 과, "사업을 개선시켜 이익배당을 많이받는 것" 중 무엇이 자산 형성에 더 유리할 것인가?



[ 돈나무를 키워 돈을 받는 거랑, 돈나무를 키워주고 월급을 받는 거랑, 누가 돈을 더 많이 받을까? ]



3. 쌓아간다 = 무한한 개선을 통해 시스템의 효율을 높인다. = 기존 시스템의 이익률 증가.


말 그대로다. 이 이야기가 의미하는 건 "기존의 사업을 개량 -> 투입 자원 대비 산출물 효율 증가 -> 이익 증가" 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철강을 생산에 비유하자면, 공정 개선을 통해 이전에는 100의 에너지로 철강 100을 생산하던 걸 90의 에너지로 철강 100을 생산한다면, 10만큼의 에너지가 순이익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그 순익을 개선에 투자해서 90을 81의 에너지로 만들면, 순이익은 다시 증가하고... 그런 선순환. 


같은 맥락으로, 한 회사가 다른 회사를 인수, 합병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그게 종종 실패하는 까닭이 바로 이거다.

각 회사의 사업은 이미 각각의 회사에 맞도록 자원과 시간을 다듬어 놨는데, 각각의 사업에 최적화 된 두 시스템( = 사업체 ) 을 뭉개서 하나로 새로 만들려고 하니, 돈도 많이들고 이전처럼 최적화 효율도 안 나오는 거지. 

가끔가다 나오는 기업성공사례중 하나인 회사 병합했을 때 두 회사를 서둘러 통합하지 않고 기존 시스템을 가지고 가는 ( 특히나 기존 구성원을 그대로 유지하는 ) 게 성공하는 까닭이, 바로 "무리한 통합으로 인해 최적화가 손상되어 이익이 저하되는" 걸 막았기 때문.


3번은 좀 이견이 있을수 있는게, 사업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의 개선을 통한 이익 증가" 말고도 "관련되는 여러 사업들을 통합하여 추가 이익 창출" 의 경우도 많다. 근데 그건 이 글이랑 이야기가 다르니까, 일단 여기서는 넘어가자.



4.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론 위험하다.


당연하다. 잊지 말 것은 사업은 만병통치약도 아니고, 취업의 수단도 아니며, 청년실업의 해결책은 더더욱 아니라는 것. ( 특히나 한국처럼 실패에 관대하지 않은 시스템에서는 치명적이다. )

기본적으로 사업이란 위험한 행동거지인 거고, 원래 메이저가 아니다. 자영업자가 많다고 난리치는 한국조차 그 비율이 30% 정도이고, 대부분의 경제구모 큰 나라들은 10 ~ 15%를 넘지 않는다. 원래 월급받는게 이상한 게 아니고 당연하고 평범한 거다. 당근 월급을 받는게 골치도 덜 아프고. 

월급 받는 것이 나쁘거나 비효율적인 전략이란 뜻이 전혀 아니다.

단지 월급을 받는 시스템에서는, 전체 시스템의 향상에 비하여 자신이 얻는 이익은 정비례하지 않는다는 뜻.


하지만 사업해서 모다 말아먹고 마느니, 고용된 상태로 책임을 덜어내는 것도 훌륭한 전략이다.



[ 오른쪽 위에 써있지? 청년창업은 사회에서 매장당하는 지름길이다. 사탕발림 뽐뿌질에 넘어가면 지는거다. ]




이상 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