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음...갑자기 생각나서 써 본다. 4권을 다 읽어봤으니, 이런 것도 나쁘지 않겠지. ( 제대로 뜻을 음미하고 읽었는가? 라고 묻는다면 "니캉내캉 알면서 와그라노?" 라고 대답해 준다. )
1. 재미 : 맹자 > 논어 > 대학, 중용
나는 개인적으로 "탈무드" 뭐 이런 책을 좋아한다.
생각이 짧아서, 바로 알 수 있는, 실례가 풍부한 책을 좋아하는데, "맹자" 빼곤 딱히 그런 속성의 책이 없다.
우리가( 나만 그런건가? ) 흔히 생각하는, 머리에 관 쓰고 수염기르고 부채 든 문관 두 명이 "주 은왕이..." "제 안자가..." 뭐 이런 배틀하는 장면을 기대했다면, 그나마 맹자가 그에 맞다.
이런 걸 기대한 당신은... 음... 실망할꺼야. 분명.
이런 건 더더욱 엄따.
2. 4서는 원래부터 세트메뉴는 아니었다.
그...러니까, 크게 2 + 1 권이라고 해야 할까나?
나도 책 서문을 한 번 보고 넘겨서 잘은 모르는데, 일단
논어論語 는 공자님의 말씀을 후대 사람이 쓴 책이다. ( 예수님이 성경 쓴 게 아니듯, 논어도 공자님이 쓴 게 아니다. )
맹자孟子 는 논어를 보고 맹자님이 이야기한 걸 , 후대 사람이 쓴 책이다. 고로 논어와 맹자는 연결.
"대학" 이랑 "중용" 은...원래 시경(詩經)인가? ( 자세한 건 위키피디아 - 시경 참조 ) 에 있는 내용 중 일부를 풀어 쓴 책이다.
3. 맹자는 공자의 정식 제자가 아니다.
음...이건 나만 몰랐나? 어릴 때 학교 교과서에서 공자 맹자 나오면, 맨첨엔 공자랑 맹자가 같은 레벨인줄 알았다.
그 담에 공자가 먼저 나왔단( = 태어나셨다는 ) 이야길 주서들은데다가 맹자님이 공자 이야기를 인용했단 얘길 들어서 "아~ 공자 제자가 맹자구나~" 생각했다. 헌데 논어論語, 맹자孟子를 읽어보니, 공자님은 맹자를 제자로 둔 적이 없...다. ㅡ,.ㅡ;
그게 왜나면, 공자님이 돌아가시고 공자의 양아들인가? 제자인가 하는 증자가 논어를 엮고, 증자의 아들인가 제자인가가 책을 전하고, 그 다음 맹자님이 태어나서 논어를 보고 "아~ 이 책 좋쿠나! 공자님이 말씀하시길~" 뭐 이런 거란다.
고로, 공자님은 맹자님을 제자로 삼을 수가 없었다. 태어나지도 않았으니깐.
4. 옛날의 군자와, 현대의 군자는 다르다.
책을 보면, 4서에서 이야기하는 군자君子는 그리스에서 말하는 일종의 "철인" 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현대인이 생각하는 군자는 "선비" 의 이미지에 가까울 거다.
즉, 이전에는 "군자" 에 당연히 정치적 색체가 부여되었던 것 같다. 어떤 느낌이냐면... 현대사회는 종교와 정치가 분리된 제정 분리 국가이지만, 옛날에는 안그랬잖어? 그것처럼 이전에는 "군자" 가 정치를 하는 것이 당연하고, 그렇기에 4서는 수양서이지만 정치서, 제왕학이기도 했던 거다.
그래서 대학과 중용을 보면, 역자 서문에 "황제와 제후, 고관 대작이나 자제들만 배울 수 있었다" 란 이야기가 나온다.
5. 중용에는 생각보다 가운데 이야기가 없다.
나 어릴 때에는, "사람은 모름지기 중용" 이 진리였다. 그래서 "중용" 책 보면 막 깨달음 얻고 int 높아지고 천변, 화계, 요술, 둔갑 등 다 쓸 수 있는 둔갑천서나 맹덕신서 쯤으로 알고 있었는데, 막상 까보니 OTL.
6. 개인적으로 추천은 논어+맹자까지만.
제목 그대로. 저기에 한 권 더 더하자면, "도덕경" 정도? "목민심서" 까지도 필요없을 듯.
뭐. 이정도?
이상 끝.
그 담에 공자가 먼저 나왔단( = 태어나셨다는 ) 이야길 주서들은데다가 맹자님이 공자 이야기를 인용했단 얘길 들어서 "아~ 공자 제자가 맹자구나~" 생각했다. 헌데 논어論語, 맹자孟子를 읽어보니, 공자님은 맹자를 제자로 둔 적이 없...다. ㅡ,.ㅡ;
그게 왜나면, 공자님이 돌아가시고 공자의 양아들인가? 제자인가 하는 증자가 논어를 엮고, 증자의 아들인가 제자인가가 책을 전하고, 그 다음 맹자님이 태어나서 논어를 보고 "아~ 이 책 좋쿠나! 공자님이 말씀하시길~" 뭐 이런 거란다.
고로, 공자님은 맹자님을 제자로 삼을 수가 없었다. 태어나지도 않았으니깐.
4. 옛날의 군자와, 현대의 군자는 다르다.
책을 보면, 4서에서 이야기하는 군자君子는 그리스에서 말하는 일종의 "철인" 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현대인이 생각하는 군자는 "선비" 의 이미지에 가까울 거다.
즉, 이전에는 "군자" 에 당연히 정치적 색체가 부여되었던 것 같다. 어떤 느낌이냐면... 현대사회는 종교와 정치가 분리된 제정 분리 국가이지만, 옛날에는 안그랬잖어? 그것처럼 이전에는 "군자" 가 정치를 하는 것이 당연하고, 그렇기에 4서는 수양서이지만 정치서, 제왕학이기도 했던 거다.
그래서 대학과 중용을 보면, 역자 서문에 "황제와 제후, 고관 대작이나 자제들만 배울 수 있었다" 란 이야기가 나온다.
5. 중용에는 생각보다 가운데 이야기가 없다.
나 어릴 때에는, "사람은 모름지기 중용" 이 진리였다. 그래서 "중용" 책 보면 막 깨달음 얻고 int 높아지고 천변, 화계, 요술, 둔갑 등 다 쓸 수 있는 둔갑천서나 맹덕신서 쯤으로 알고 있었는데, 막상 까보니 OTL.
현질은 진리( 그림은 본문과 관계없음. )
6. 개인적으로 추천은 논어+맹자까지만.
제목 그대로. 저기에 한 권 더 더하자면, "도덕경" 정도? "목민심서" 까지도 필요없을 듯.
뭐. 이정도?
이상 끝.
반응형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의 역사. A History of Warfare (2) | 2012.06.03 |
---|---|
모기나라에 간 코끼리 (0) | 2012.03.27 |
중용. 中庸 (0) | 2012.03.21 |
어느 주식투자자의 회상. Reminiscences of a Stock Operator (0) | 2012.03.21 |
대학 大學 (0) | 201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