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960

linux 에서, shell ( console ) 의 결과값을 재처리 하려면 exec 계열 함수 대신 popen() 을 이용

말 그대로다. 프로그램에서, 단순히 shell ( command ) 의 명령어를 실행만 시키려면 exec 계열 함수나 system() 으로 충분하지만, 명령어 실행 후 값을 가져와 재처리를 하려면, popen() 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ls 를 실행만 시키려면 execl() 로 충분한데,ls 를 실행해서 파일 목록 중 특정 목록이 있으면 삭제하는 기능을 C로 만들려면 , popen() 을 써야 한다는 거지. 예제는 인터넷 찾아보면 많으니까, 찾아볼것. 끝.

프로그램 2015.01.23

crontab 이 정상 실행 안 될 때.

linux 에서 정기적인 작업 실행을 위한 corn.cron 의 사용법은 인터넷 검색 해서 알아보고.... 나는 크론 안 되는 경우를 좀 적겠다. daemon 을 하나 만들어서 정기적으로 실행시키려고 cron 에 등록했는데, 아무리 해도 안되더라. 아래와 같은 내용을 확인해 보아야 한다. 1. cron 은 1분 이하의 정기적 실행은 불가능.분해능이 1분이다. 2. cron을 매 분, 매 시간 실행시키는 것과, 매 시각 1분, 매일 1시에만 실행시키는 것은 다르다. 예를 들어, 1 * * * * /home/foo.sh 는 매 분마다 foo.sh 를 실행시키는 게 아니고, 매 1 분마다 foo.sh 를 실행시킨다는 뜻으로, 한 시간에 cron 이 60번 실행된다는 뜻이 아니라, 한시간에 1회만, 매 시각 0..

프로그램 2015.01.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