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960

퍼스트 어벤져 Captain America: The First Avenger.2011

줄거리 : 캡틴 아메리카의 탄생 http://movie.daum.net/moviedetail/moviedetailMain.do?movieId=48616 마블 ( 혹은 DC? ) 의 캐릭터가 영화화 된 걸 대충 다 본 거 같은데 ( 아이언맨, 토르, 퍼스트 어벤저, ....하나는 뭐지? 스파이더맨인가? ) 음...개인적으로 평가하자면 토르보다 이 퍼스트 어벤저가 훨 났다. 물론 전투 참가 군인이 왜 파란색과 빨간색과 흰색을 유니폼과 방패색으로 사용하는지는 아무리 영화를 봐도 알 수가 없지만, 하고 싶다면 하라고 해야지. 내가 제작하는 것도 아닌데. 영화는, 나쁘지 않다. 이전의 2011/11/18 - [영화] - 그린 랜턴 : 반지의 선택 이나 2012/01/07 - [영화] - 토르 Thor.2011 보..

영화 2012.03.10

풍산개 Poongsan.2011

줄거리 : 편 갈라 먹지 않으려는 남자의 몸부림. http://movie.daum.net/moviedetail/moviedetailMain.do?movieId=61257 고마워! 곰TV!! 이런 멋쥔 영화를 틀어줘서!! 김기덕씨! 고마워요! 이런 멋진 영화를 생각해 주어서!! 윤계상씨! 김규리씨! 고마워요! 이런 멋진 영화에 노개런티로 출연해 주어서!! 오다기리 죠씨! 고마워요! 엔딩 크레딧을 끝까지 보는 보람을 느끼게 해 주어서!! 이 작품은, 김기덕 필름 제작.....이다.( 초반 글 부터 뭐냐!!) -_-; "제작" 이라고 쓴 까닭은, 감독은 "전재홍" 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분이 누구인가가 중요한 게 아니고, 난 이 작품이 김기덕씨의 작품으로 알고 있었는데, 감독이 다르니 깜딱(!) 놀랐다..

영화 2012.03.09

채근담.

채근담 이 책 후기를 보려면... 2012/02/03 - [책] - 도덕경. 을 읽어 주자. 처음에 도덕경에 대해 그리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생각보다 책이 훌륭했다. 내용 뿐만이 아니라 책의 제본, 해석 등. 그래서, 같은 출판사에서 출판한 "채근담" ( 저자는 다르다.) 에 대해서도, 많은 기대를 걸었다. 감상평 : 속편 재밌는 영화 많지 않지? 채근담의 취지는 대충 이렇다. 하나의 큰 이야기가 있는 책이 아니고, 여러 가지 조각조각의 이야기를 모아서, 마음에 새길 만 한 이야기들을 책으로 만든 거. 그런데 그 "마음에 남을 이야기" 라는 게, 결국은 인간이란 동물이 사는 데 공통적으로 적용될 것이기 때문에... 결국은 조각조각 이야기의 큰 흐림이 나타나기는 나타난다.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짧은, 조..

2012.03.09

2012. PD수첩. 서민 경제 진단 1,2,3부

2012, 서민 경제 진단 1부-자영업, 내일은 없다 2012, 서민 경제 진단 2부-서민공약, 어디로 갔나? 2012, 서민 경제 진단 3부-허니문푸어, 빚과 결혼하다 김사장이 유튜브랑 계약했다더니, 진짜인가 보다. imbc에서 볼 수 있을 법한 컨텐츠랑 분량이 유튜브에 있다. 뭐, 본 사람은 본 내용일 수 있는데, 2012년 새해 첫 날 PD수첩( 이라고 쓰고 "용자勇者"라고 읽는다. ) 에서 씨리이즈로 제작한 내용이다. 한국에서 상황이 어느정도 심각한지를 나타내 주는 내용이다. 3부 "허니문 푸어" 편에서도 나오지만, 대부분의 사람이 빚을 내어서 살아야 한다면, 이것은 결국 사회 구조가 정상이 아닌 것이다. 내가 무서운 것은, 나중에 내 이후 세대가 "내가 이렇게 된 건 다 사회 탓이야." 라고, ..

TV 2012.03.07

[펌][블로터포럼] “개발자로 게임업계 들어와보니…”

http://www.bloter.net/wp-content/bloter_html/2012/03/99093.html 블로터닷컴에서, 게임산업의 현업 종사자들과 인터뷰를 했다. 미친 정부와 문광부, 교과부, 여가부 등의 모욕적인 규제가 남발하는 현 관점에서, 업계 종사자의 이야기를 들어 볼 수 있는 기회라고 본다. 내용요약 : 1. 게임산업은 해외수익이 많다. 고로 국내 규제는 영향 작다. 2. 국내 게임사는 외국 게임사가 못 해낸걸 해냈다. 거의 영웅 레벨. 3. 게임사가 많이 성숙되었고, 수익도 크다. 4. 개발자 귀하다. 5. 정부 등의 규제는 모욕적 처사다.

카테고리 없음 2012.03.05

연예계를 분석하다. "정덕현의 공감"

http://media.daum.net/entertain/series/expert/?sid=109910 나는, 분석하는 걸 좋아한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통찰을 선호하고 흐름을 뽑아내는 것인데, 그건 결국 "분석"이라는 토양 위에서 가능한 것이니, 나는 분석을 좋아한다는 말이 정확할게다. 그런데, 대중문화를 분석의 시각으로 보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은 듯 하다. 위의 글쓴이도, 그 중 한 명이다. 어찌 보면, 이 분석이란 게... 그리 어려운 작업은 아니다. 어짜피 방대한 지식만 있다면 그 안에서 보는 눈이 생기게 되고, 그것을 글로 옮기기만 하면 되는 것이니까. 그런데... 문제는 그 "방대한 데이터" 이다. 예능의 분석을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많은 량의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보아서, 각 컨텐츠들의 연관 ..

TV 2012.03.05

하룻밤에 읽는 목민심서( 원제 牧民心書 (1818년) )

하룻밤에 읽는 목민심서 그렇다. 그 "목민심서"다. 다산 정약용 선생의 목민심서. 하도 유명한 책이라 읽어봤다. 어떠한 내용인지 보려고 말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 책은 "목민" 에 관한 이야기다. "목민관" 이란 단어가 있는데, 고을 수령...지금으로 치면 군수 정도? 된다. "사또" 정도로 생각하면 될 거다. 마을을 다스리는 사람들이, 어떠한 가치관으로 사람들을 다루어야 하는가, 자신은 어떠해야 하는가... 에 대한 책이다. 문제는, 일반적인 대인관계술( = 카네기 인관관계론 등) 으로서의 내용이 아닌, 철저하게 "백성을 다스리는 이로서 목민관은 어찌해야 한다" 라는 내용이기 때문에, 지금에서는 써먹을 곳이 많지 않다. OTL. 자신이 말그대로 군수나, 도지사나, 자치단체장이거나 대통령이거나 도지사..

2012.03.04
반응형